티스토리 뷰

반응형

청년우대형청약통장 썸네일
청년우대형청약통장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날뛰는 집값으로 인해 청년들이 포기할 수밖에 없는 요건들이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여기에 금리 또한 낮아져서 예적금보다는 주식 같은 투자의 재테크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청년들의 걱정을 정부가 느끼는 거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2021년까지였으나 2년 추가된

2023년 말까지로 연장이 되었습니다.

 

청년우대형청약통장 기사
이데일리 최훈길기자 / '2030 뿔난 민심에 청약통자 혜택 늘리고 특공 확대 추진' 기사 제목

 

현재까지 약 42만 명의 청년들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이 되어있다고 합니다.

혹시나 아직까지 가입 안 한 청년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란?

 

청년층을 대상으로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 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을 유지하면서 최대 연 3.3% 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대상은?

 

만 19세~ 만 34세 이하
단, 군필자 경우 복무기간을 인정받아 만 35세여도 가입 가능

 

전 연도 연소득 36백만 원 이하 (2020년도 소득 확인)

 

무주택 세대주 or 무주택 가입 후 3년 이내 세대주 예정자 or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

 

ex) 현재 부모님이랑 같이 살고 있지만 1년 후 결혼 또는 독립을 해서 
전월세로 따로 사는 경우 해당됨
부모님이랑 같이 살 경우에는 등본상에 부모님이 주택을 소유하지 않으셔야 함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혜택은?

 

청년우대형청약통장 우대금리
청년우대형청약통장 우대 금리

 

① 우대금리 적용으로 최대 3.3% 이자 (단, 2년 이상 ~ 10년 이내 가입기간에 대해서 3.3% 이자 적용)

 

② 가입 2년 후 비과세 혜택 ( 단, 무주택 세대주이고 전년도 소득 연 36백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의 사업소득자에게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 적용) 

 

③ 연말정산 40% 소득공제 (단, 총 급여액 7천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는 최고 96만 원까지 소득공제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구비서류 및 신청방법

 

■신청방법

 

우리은행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농협은행 / 기업은행 / 하나은행 / 대구은행 / 부산은행 / 경남은행 중 

가까운 영업점을 방문하여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개설 

 

■구비서류

 

① 신분증


② 소득확인증명서 (정부 24 발급)


③ 원천징수 영수증 (홈택스 발급)


④ 주민등록등본


⑤ 병적 증면서 (해당자만)


⑥ 무주택 확인서 (주민센터 발급)
→세대원일 경우 세대원 전원 전국단위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⑦ 청약통장 (기존에 주택청약종합저축 들으셨던 분들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할 경우)

 

기존의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들으셨던 분들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바꾸고 싶으시면 

해지하지 마시고 전환 신청하시면 됩니다. 그래야 1순위의 기본 조건인 가입기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자율과 비과세 혜택 같은 조건을 봤을 때 가입하면 좋을 제도 같습니다.

2023년 말에 종료될 제도이니 아직 신청 안 하신 분들은  조건을 확인하시어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